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소식

소상공인.8월 전기료 작년보다 22만 원 더 냈다...인상률 46%

by 사람을 변화시키려면 비록 작고 사소한 일 일지라도 격려의 2023. 9. 7.
반응형

  일반용 전기요금 평균 작년 48.1만→70.1만 원↑

  올여름 소상공인들의 전기요금 부담이 지난해보댜 4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7-8월 한 달 사이에만  월평균 요금 인상률도 32.2%나 껑충 뛴 것으로 조사됐다.

 

  7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전남 여수시을)이 한국전력공사(015760)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 사이 일반용(갑) 월별 평균 전기요금은 무려 71%나 올랐다.

  통상 상업용 건물 내 사용자에게 적용하는 일반용(갑)요금은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요금제다.

  일반용(갑)의 8월 기준 3년간 요금을 보면 2021년 41만47원에서 2022년 48만 1660원(이하 전년 동기 대비 17.5%) 2023년 70만 1790원(45.7%)으로 증가했다.

  당장 전월(53만816원)과 비교해도 한 달 새 32.2%(17만 974원)가 올랐다.

  지난 5월 정부가 전기요금을 인상하면서 소상공인 지원책으로 내놓은 전기요금 분할 납부제도 신청자 수는 7449명이었는데  그중 6974명(93.6%)은 일반용(갑) 계약자였다.

  정부는 올해 6-9월 한시적으로 신청자들에 한해월 요금 50% 이상 납부 후 잔액을 최장 6개월간 분납할 수 있게 해 줬다.

  이들 분할납부 신청자들의 최근 3년간 월별 전기요금 현황을 봐도 지난달 기준 소상공인들의 평균 전기요금은 92만 7296원으로. 전년동월(76만 5056원) 대비 16만 2240원(21.2%↑) 올랐다.

  전력 수요가 많은 8월 전기요금만 놓고 보면 2021년 63만 2348원에서 2022년 76만 5056원(21%↑). 2023년 92만 7296원(21.2%↑) 매년 20% 상승률을 보였다.

  계절적 특성에 영향을 적게 받는 평시 수준 요금도 3년 사이 50% 가까이 올랐다.

  지난 3년 간 소상공인들이 낸 5월 평균 전기요금을 보면 2021년 40만 7036원에서 2022년 48만 5125원(19%↑). 2023년 60만 8889원(25.5%)으로 3년 사이 인상률은 49.5%에 달했다.

  현 정부 출범 후 전기요금 현실화를 위한 가파른 요금 인상에 역대급 무더위가 겹친 영향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부자는 감세하고. 소상공인은 전기세 폭탄 고통에 내몰고 있다"며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 지급. 소상공인 에너지 바우처등을 통해 국민들을 신속 지원하고 윤석열 정부의 경제 정책 기조가 완전히 바뀌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댓글